Safety analysis 4

AP: Action Priority

AIAG-VDA 가이드북을 읽다보니, RPN (Risk Priority Number) 외 AP (Action Priority) 를 통한 정의가 보이네요. 왜 포함된거지? 목적이 뭐지? 어떤 배경으로 생겨난 거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아래 그림으로 확실하게 이해가 되네요. 그림을 보시면 Scenario A와 Scenario B 모두 RPN 80으로 동일합니다.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따라 업무(Task)를 배정하는데, 위 2 개의 Scenario는 동일하게 보아야 할까요? RPN으로만 구분한다면 그럴 수 있겠지만, 설명되어 있듯이 RPN만으로는 이러한 충분하지 못한 부분이 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Severity가 높은 시나리오부터 접근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을 위해서 Action Pr..

FHTI: Fault Handling Time Interval

FMEA 가이드 북을 읽다가 재미난 부분을 알게 되어서 짧게 글을 써봅니다. 몇 년전에 발표된 AIAG-VDA FMEA 가이드북에서도 글 제목과 같이 FHTI가 언급되어 있더라고요. 아래 그림을 보시면 Fault Handling Time Interval, FHTI의 정의가, Fault로부터 Failure가 발생되고, Hazardous event가 발현되는 시점까지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ISO 26262 part 1에서는 Safe state로 천이하는 시간까지를 의미합니다. ISO 26262 part 1에서, Hazardous event까지는 아래 그림과 같이 FTTI, Fault Tolerance Time Interval 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좀더 AIAG-VDA 가이드북을 읽다보니 아래와 같이..

BFR & Reference for Reliability

Good morning어쩌다보니 화요일이다. (월요일은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모르겠다)비가 많이 오다 보니, 운전하기 불편하지만 또 미세먼지가 적어져서 반대로 좋기도 하다. (역시 사람 사는 일 같이 느껴진다) 자 살짝~ 출근을 빨리 해서 부지런하게도(?) 표준을 읽다가 간단하게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BFR의 정의는 Base Failure Rate 의 약어로써 정의는, "Failure rate of a hardware element in given application use case used as an input to safety analyses"이다. 안전 분석을 위해 주어진 하드웨어 엘리먼트의 고장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추가적으로 Failure rate만 주어지는 경우보다는 Fa..

Dependent failures

ISO 26262 에서 종속고장 (Dependent failures)라는 것은 2.22종속 고장 (dependent failures)동시에 발생하거나 또는 연속하여 발생할 확률을 가진 고장은 각각의 무조건 확률의 산출물로 단순 계산할 수 있다. 비고1. 종속 고장 A와 B는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PAB ≠ PA × PB 여기에서PAB: 고장 A와 고장 B의 동시 발생 확률PA: 고장 A 발생 확률PB: 고장 B 발생 확률 비고2. 종속 고장은 공통원인 고장과 연계 고장을 포함한다. 쉽게 말해서Independent 하다면 두 고장의 발생 확률의 곱은 같게 되겠지만, dependent는 같지 않다는 것이다. 그럼 공통원인 고장과 연계 고장은 무엇일까? 2.13연계 고장 (cascading failur..